[Git] Git의 작업흐름 이해 - Workflow
Workflow: 한국어로는 작업흐름 으로 번역된다.
작업흐름은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1. Working Directory
2. Staging Area
3. .git Directory (Repository)
Working Directory
파일이 실제 존재하고 편집되는 곳이다. 우리가 작업하는 곳이다.
Staging Area, 또는 Index
Git이 관리하는 중간단계로 commit을 준비하는 영역이다. 'git add'명령어를 통해서 변경이 완료된 파일들을 Working Directory에서 선택적으로 Staging Area로 옮길 수 있다. 이는 여러 변경 사항 중 어떤 것들을 commit으로 묶을지 선택할 수 있게 해준다.
new file: Daniel.txt를 볼 수 있다. 이 파일은 이제 commit을 준비하는 상태이다.
만약 Staging Area에 있는 파일이 수정이 된다면 git status에 다음과 같이 표기가 된다.
그리고 또 다시 git add Daniel.txt를 하면 modified는 없어진다.
stage된 파일 unstage 하기
Staging Area에 존재하는 stage 된 파일들을 unstage 하려면 'git rm --cached 파일이름'을 하면 stage 하기 전으로 돌아간다.
.git Directory(Repository)
Git의 저장소이다. git commit 명령어를 실행하면 Staging Area에 있는 파일들이 이 곳에 저장된다. 여기는 프로젝트의 모든 버전 정보가 저장되어, 이전 상태로 롤백 하거나 여러 브랜치로 분기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정리하며
1. Working Directory에서 파일을 만들거나, 수정 혹은 삭제한다.
2. git add 명령어로 Staging Area로 파일을 이동시킨다.
이 단계에서는 commit으로 저장하고 싶은 변경사항을 선택한다.
3. git commit 명령어로 변경사항을 .git Directory에 저장
이 때 프로젝트의 새로운 스냅샷이나 버전이 생성된다.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Tag가 필용한 이유와 하는 방법 (0) | 2023.06.23 |
---|---|
[Git] Git log를 유용하게 활용하는 옵션들 (0) | 2023.06.22 |
[Only for me] Git에 대한 꿀팁 모음 (0) | 2023.06.22 |
[Git] diff 사용해서 코드 변경 사항 비교하기 (0) | 2023.06.22 |
[Git] Git에서 무시할 파일들 정의하기 .gitignore 활용 (0) | 2023.06.22 |